로고


보도자료

[이데일리] 19일 몽양 여운형선생 서거 70주기 추모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7-07-18 17:01 조회9,208회

본문

19일 몽양 여운형선생 서거 70주기 추모식


조국 광복과 민족의 통일을 위해 일생을 바치신 몽양 여운형 선생의 70주기 추모식이 19일 오후 2시 백범김구기념관 대회의실에서 (사)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 주관으로 열린다. 

선생은 경기도 양평에서 출생해 배재학당, 흥화학교 등에서 신학문을 익혔다. 1908년에는 기호학회 평의원으로 활동했다. 1910년 강릉의 초당의숙에서 민족교육에 매진했다.

1918년 상해에서 상해고려인친목회를 조직해 총무로 활동하면서 기관지인 ‘우리들 소식’을 발행했다. 8월에는 신한청년당을 조직하고 총무로 활약했다.
 

19일 몽양 여운형선생 서거 70주기 추모식

1차 세계대전 후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했다.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독립문제를 크게 부각시키기 위해 장덕수를 일본에 파견해 2·8독립선언을 촉발케 했다. 또 국내에 김철, 선우혁 등을 파견해 국내 인사들과 접촉하게 하고 자신도 간도·시베리아 방면으로 가서 3·1만세운동의 분위기를 진작시켜 나갔다.
 
3·1운동 직후 1919년 4월 상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외무부 차장, 임시의정원 의원 등을 역임했다. 11월에는 일본의 심장부인 동경을 방문해 일본 고위 관료들을 상대로 한국독립의 정당성을 역설해 일본은 물론 국제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1920년 조국의 독립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공산당의 원조를 기대해 고려공산당에 가입했다. 1922년 1월 모스크바에서 극동피압박민족대회가 열릴 때 조선민족 대표의 일원으로 참석해 조국의 독립을 역설했다. 10월에는 상해로 돌아와 독립운동의 장기적 구도 아래 백범 김구 등과 함께 한국노병회를 조직해 군사적 투쟁을 준비하기도 했다.

독립운동계에서 임시정부의 재편문제가 부상하자 안창호와 함께 국민대표회의 개최를 주도했다. 1923년 초부터 국민대표회의가 열릴 때 안창호 등과 함께 ‘임시정부 개조’를 주장했다.

1933년에는 조선중앙일보사 사장에 취임해 언론을 통한 항일투쟁을 전개했다. 그러나 1936년 8월 베를린올림픽대회 손기정 선수의 ‘일장기 말소사건’으로 사장직에서 물러났으며 조선중앙일보는 폐간됐다. 

일본의 패망을 확신하고 1944년 8월 비밀리에 건국동맹을 결성해 조국광복을 준비했다. 광복 후에 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했지만 실패하고 극좌·극우 양측으로부터 소외당한 채 좌우합작운동을 추진하던 중 1947년 극우파의 흉탄에 맞아 서거했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2005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