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올해부터 후속조치 속도
도내 친일파 118명.143건 잔재
첨예한 이해관계 해결 큰 숙제
지난해 말 전라북도 친일잔재 전수조사 및 처리방안 연구용역 결과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전북도의 후속조치가 올해부터 본격 가동될 전망이다.
친일잔재에 대한 도민들의 자각을 일깨우는 한편, 반민족행위에 대한 경각심 및 공감대 형성에 주력한다는 방침인데 친일과 관련된 유족 및 시설 관계자들, 더 나아가 시·군간의 첨예한 이해관계 해결은 숙제로 떠오르면서 도의 후속조치가 속도를 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전라북도가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용역을 발주해 나온 '전라북도 친일잔재 전수조사 및 처리방안 연구용역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전북 출신 친일파는 총 118명으로 확정됐다. 친일잔재는 143건이며 왜곡 사례도 21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과보고서가 가진 중요한 의미는 친일 잔재물의 청산 및 보존에 대한 처리 기준을 보다 명확히 제시했다는 데 있다. 그간 지역별로 친일 잔재물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기준이 없어 혼란이 빚어져 온 만큼 이부분에 대한 기준을 정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우선 '친일잔재'와 '식민지 유제'를 분리해 처리 기준에 대한 방안 설정을 다시 잡았다. 친일잔재의 경우 친일파와 관련된 유적인 만큼 단순 철거 및 폐기하는데 머무르지 않고 이를 일제의 만행이나 친일 부역자를 기억하고 상기시키는 데 방점을 두고 교육에 활용하기로 했다.
그러기 위해선 전북의 친일과 독립운동을 한 곳에서 전시·교육·연구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데 도는 '전라북도 식민지 역사교육관', '전라북도 식민지역사공원'에 대한 타당성 검토 조사용역을 발주해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기본적으로 청산대상이어야 하지만 청산이 어려운 경우엔 단죄비 혹은 안내문 등을 설치해 교육적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김제 아리랑 문학마을 내 구마모토 공덕비가 대표적인 예시인데 식민지 유제지만 도민들에게 교육 활용을 위해 적극 활용되며 좋은 효과를 거두고 있는 만큼 더 폭넓게 적용하기로 했다.
식민지 유제의 경우 일제의 식민통치 시기와 관련된 유적인 만큼 대부분 단기 처분이 어려운 것들이 많아 재활용이 어려운 경우엔 안내문을 설치하기로 했다.
공간과 시설을 적극 활용해 일제 식민통치에 대한 교육 공간으로 사용하는 한편 일본식 비석 등은 교육 교재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로 했다.
도내 공식 블로그 및 그에 준하는 온라인 홈페이지에 기재된 친일파 및 친일잔재에 대한 미화, 왜곡, 축소 사례들은 비교적 처분이 쉬워 모두 삭제조치 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용역자료를 토대로 친일잔재 영상 콘텐츠와 홍보물을 제작해 도민들의 잠재적 친일잔재 자각 및 청산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공간과 인물에 대해 첨예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경우가 많아 후속조치에 가속을 낼 수 없다는 것은 도가 맞닥뜨린 과제다.
이에 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결국 공감대 형성이 가장 중요한 만큼 14개 시군 협의체와의 꾸준한 소통을 통해 친일잔재 처리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나가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 전민일보 홍민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