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보도자료

[전남일보] 광주.전남 사회주의 독립운동가들 유공자 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06-27 09:31 조회7,620회

본문

학산 윤윤기, 향산 김범수, 이기홍 선생 등 일제강점기 광주.전남지역의 대표적 독립운동가임에도 사회주의 활동 전력 탓에 공로를 인정받지 못했던 애국지사들에 대한 독립유공자 지정과 훈장 수여 등이 이뤄질 전망이다.

정부는 최근 제2회 국가보훈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독립유공자 포상심사 기준 개선 방안’이 포함된 ‘제4차 국가보훈발전기본계획(2018∼2022년)’을 심의.확정했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특히 독립유공자 포상심사 기준 개선에 대한 논의가 심도있게 이뤄졌다. 개선 내용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광복 이후 사회주의 활동 참여자 재검토’ 대목이다.

기존에는 독립운동을 했더라도 친일 행위나 사회주의 활동에 가담한 것이 발견되면 독립유공자로 지정이나 훈장을 받을 수 없도록 돼 있었다. 특히 광주.전남지역의 독립운동을 이끌었던 다수의 지도자들이 그간 사회주의 활동 전력을 이유로 독립유공자로서의 예우를 받지 못한 점에 비춰볼 때 이번 위원회의 결정은 의미가 매우 크다.

실제 이번에 열린 위원회에서 지역 독립운동가들의 서훈 가능성이 언급된 것으로 전해졌다. 학산 윤윤기(1900~1950), 향산 김범수(1899~1961), 이기홍(1912~1996) 선생 등이다.

윤윤기 선생은 일제강점기인 1939년 보성에 무상교육기관인 양정원을 세워 우리말과 역사를 가르친 민족교육자이지만, 사회주의 활동에 참여한 이유로 독립유공자 인정을 못 받았다.

김범수 선생은 1919년 광주의 ‘3.1운동’인 3.10광주만세운동을 이끌다 일본 군.경에 체포돼 3년의 옥고를 치렀음에도 6.25전쟁 당시 광주인민병원장을 지냈다는 이유로 사회주의자 낙인이 찍혔다.

이기홍 선생은 1929년 광주고보 재학 당시 광주학생독립운동에 참가한 이래 일생을 민족운동에 헌신했지만, 광복 후 여운형이 주도한 건국준비위원회 참여 등 전력이 발목을 잡았다.

이들 대표적 독립운동가 뿐 아니라 1930년대 일제의 가혹한 수탈에 맞선 호남지역 소작농들의 항일운동도 재평가 될 것으로 보인다.

1934년 3200여명이 참여한 ‘전남운동협의회’ 사건이 대표적으로, 참여자들 대다수는 여전히 국가로부터 독립운동에 나선 공로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당시 피의자로 조사를 받거나 연행된 사람만 558명에 달하지만, 기소된 57명 중 30명만이 1990년대 들어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았다.

위원회는 이와 함께 수훈자가 직접 독립운동 참여 사실 등을 입증해야 했던 부담을 줄이고자, 국가 입증 책임을 강화했다. 또 독립운동 이후 행적이 불분명하더라도 포상키로 기준을 완화했다.

이에 따라 광주학생독립운동에 참여했으나 옥고를 치르지 않아 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했던 이들도 다수 서훈을 받을 길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위원회가 과거 사법처리를 받은 경우에 한했던 것을 독립운동에 참여해 퇴학을 당한 경우에도 독립유공자로 포상키로 해서다.

정부는 올해 8.15광복절을 시작으로 개선방안을 적용해 포상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