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독립운동가 소개

채상덕 선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09-18 11:07 조회1,856회 댓글0건

본문



1862~1925, 독립군

1995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생애 및 활동사항


의병에서 독립군으로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의 개척자 
 

 

“부하가 다 죽었으니 나 혼자 살아있을 면목이 어디 있겠느냐”


일명 채상덕(蔡尙悳). 본관은 평강(平康). 호는 심호(深湖). 황해도 사리원 출생.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최익현(崔益鉉)의 문하생으로 최익현의 뒤를 따라 의병초모에 전심전력하였다.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이 일어나 온 나라가 충격에 빠집니다. 당시 국민들은 일제의 만행에 크게 분노하여 봉기를 일으키고 의병은 한데모여 무장 투쟁을 하게 됩니다.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강원도 등 전국 각지에서 의병활동이 활발히 일어났는데요. 이때 일어난 의병을 을미의병이라고 합니다. 채상덕 선생은 고향인 황해도 사리원·재령·해주·신막·안악 일대에서, 안필호(安弼濩)·최봉소(崔鳳韶)·최전구(崔銓九)·윤항식(尹恒植)·이승회(李承會)·채만식(蔡萬植)·이승원(李承遠) 등과 함께 의병투쟁에 동참하였습니다.


992DAC3359CDAA8029

▲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 당시 모습

(출처: 한국컴퓨터선교회)


이후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고 1910년 나라의 주권이 일본에 완전히 넘어가 버리게 되자, 선생은 남만주로 망명하여 기거하면서 독립운동을 위한 준비를 전개하였습니다. 


9966963359CDAAE038

▲ 항일의병 


1920년 일본군의 만주출병 이후 남북 만주 각지의 독립군들이 각 지역별로 분산되어 있는 상태였습니다. 이에 채상덕 선생은 모두가 갈라진 상태에서는 독립전쟁을 수행할 수 없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는데요. 1922년 2월에 이르러 남만주지역에서 활동하던 서로군정서를 비롯한 대한독립단, 벽창의용대, 광복군총영, 광한단 등 각 군단의 대표들과 함께 관전현에 모여 남만통일회의가 개최되어 회의를 거듭한 끝에 1922년 2월, 대한통군부가 조직되었습니다.


선생은 대한통군부의 최고 책임자인 총장에 선임되었는데요. 얼마 되지 않아 여기에 참여하지 못했던 독립운동 단체들과 통합운동이 다시 전개되어 같은 해 8월, 대한통의부가 조직되자 부총장에 선임되어 독립운동의 선두에 섰습니다.


993D7B3359CDAB102E

▲ 대한통의부 훈련 모습

(출처: 독립기념관)


그 후 채상덕 선생은 1923년에 대한의군부를 조직하여 총재를 역임하였고, 같은 해 여름 중국 남만주 화전현에서 독립운동 지도자 58명과 함께 만주독립운동계의 통일과 지로에 대해 회의를 가지는 등 독립을 위한 체계적인 움직임을 몸소 실천하였습니다.


993F3B3359CDAB3725

▲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의부 대원들의 모습


또한, 1924년 성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의 군사조직인 참의부에 자신의 제자와 부하들을 가입시켜 독립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독려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1925년 3월, 밀정 이죽파의 밀고로 고마령에서 회의 중이던 참의부원들이 일본경찰의 습격을 받아 독립군 다수가 희생당하는 참변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일로 비통함에 빠진 선생은 제자 이수흥에게, “너는 아직 어리되 의지는 굳은 청년이니 독립군이 되어 내 뜻을 저버리지 말라”는 말을 하며 자신의 뜻을 이어줄 것을 당부한 뒤, 한참을 통곡하다가 내 부하가 다 죽었으니 나 혼자 살아있을 면목이 어디 있겠느냐”는 말을 마지막으로 남기고 자결 순국하였습니다.

 

997C3F3359CDAB5206

▲ 이수흥 선생

 

정부는 1995년 선생에게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0-02-04 10:21:16 독립운동가 소개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0-02-04 10:23:59 지부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