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독립운동가 소개

매헌 윤봉길의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05-25 11:31 조회2,247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718c52c2f52a43f8ddd3fbb4a5264f62_1529308065_58.jpg

성 명

윤봉길

한 자

尹奉吉

이 명

 

성 별

생년월일

1908. 6. 21.

사망년월일

1932. 12. 19.

본 적

충청남도 예산 덕산 시양

주 소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년도

1962

훈 격

대한민국장

 

충남 덕산에서 태어나다


윤봉길 의사의 이름과 장쾌한 의거의 내용을 아는 이는 많아도 25세의 짧은 생을 조국광복의 제단에 바친 그의 인간적 풍모를 아는 이는 그리 흔치 않다. 1920~30년대의 시대상황 속에서 시골 벽지의 한 청년이 대한의 열혈의사로 성장해가는 과정을 더듬어 보는 것은 올해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100주년을 맞이하여 우리들 생활의 지표를 점검한다는 뜻에서도 의의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윤봉길 의사는 1908621일 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에서 부친 윤황(尹?)과 모친 김원상(金元祥) 사이의 53녀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명은 우의(禹儀), 봉길은 별명이며, 호는 매헌이다.

11세 때인 1918년 덕산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9193·1운동이 일어나자 일본의 종살이 되라는 학교에 가지 않겠다며 학교를 자퇴하고, 이후 1921년 매곡(梅谷) 성주록(成周錄)의 오치서숙(烏峙書塾)에서 한학을 수학하였다. 오치서숙을 나온 후에도 홍성의 유교부식회에 가입하여 홍주의병의 항일정신을 배웠다. 의사는 전통교육을 받으면서도 동아일보와 민족잡지인 개벽(開闢)등을 구독하며 민족운동의 방향을 정립하여 갔다.


농촌계몽운동에 앞장서다

?

1926년 의사는 건너편 공동묘지에서 여러 묘표(墓表)를 뽑아들고 선친의 무덤을 찾아달라고 간청하는 무지한 청년을 만나게 된다. 이때 의사는 묘표를 뽑아 무덤의 위치조차 알 수 없게 만든 그 청년의 무식이 나라까지 잃게 한 적()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농촌계몽운동에 뜻을 두게 되었다. 당시 의사의 나이는 19세였다.

우선 자신의 집 사랑방에서 인근 학동들을 가르치다가 학생들이 늘어나자 야학당을 개설하여 한글 교육 등 문맹퇴치와 민족의식 고취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러나 농민계몽은 야학만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었다. 의사는 1927농민독본(農民讀本)3권을 저술하여 본격적으로 농촌계몽운동을 벌였다. 농민독본의 구성이낙심말라·백두산·조선지도·자유·농민과 공동정신등이었던 것만 보아도 당시의 농촌계몽운동이 단순히 계몽차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민족얼의 고취를 목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1928년에는 부흥원(復興院)을 세워 구체적인 농촌개혁을 실시하여 갔다. 주된 사업은 농가부업장려와 증산운동, 공동판매 공동구입의 구매조합 설치, 국산품 애용과 일화배척(日貨排斥), 생활개선 등이었다. 이듬해에는 월진회(月進會)를 조직하여 농촌개혁운동을 추진할 중심인물들을 규합하였고, 위친계(爲親?수암체육회(修岩體育會) 결성을 통한 친목, 체력향상 등 의사의 활동은 다방면에 걸친 것이었다. 1929년에 접어들자 농민계몽, 농촌개혁 운동은 성과가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야학회로 인한 투옥과 광주학생운동으로 인한 일제의 탄압상을 보면서 이러한 운동은 결국 민족운동, 즉 독립운동으로 귀결되어야 함을 깨닫게 되었다. 일제 식민통치하에서 한국인의 진정한 행복은 개량과 개혁의 수준에서 머물 수 없었고 완전한 독립을 달성할 때 비로소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19291216일자 일기에 의사는 함흥수리조합 일본인들이 조선인 3명을 타살. ! 가엾어라, 이 압박 어느날 갚을런지라고 적어넣기도 했다. 이는 의사가 일제의 압박을 벗어나기 위한 구체적 행동의 싹을 틔우고 있었던 사실을 잘 보여준다.

?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으로 망명하다


드디어 의사는 193036장부출가 생불환(丈夫出家生不還 : 대장부가 집을 떠나 뜻을 이루기 전에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는다)이라는 비장한 글을 남긴 채 정든 가족을 뒤로하고 중국으로 망명의 길에 오른다. 망명에 이르기까지 의사의 고뇌와 결단은 중국 청도(靑島)에서 어머니에게 보낸사랑하는 어머니에게라는 서신에 잘 드러나 있다.

 

보라! 풀은 꽃이 피고 나무는 열매를 맺습니다. 만물의 영장인 사람, 저도 이상(理想)의 꽃이 피고 목적의 열매가 맺기를 자신합니다. 그리고 우리 청년시대는 부모의 사랑보다도, 형제의 사랑보다도, 처자의 사랑보다도 일층 더 강의(强毅)한 사랑이 있는 것을 각오하였습니다.”

 

의사에게 그 사랑은 곧 민족애였다. 근대적 사고와 혁명가적 열정을 함께 갖춘 사람이 바로 의사였다. 월진회원들이 마련해준 여비를 갚기 위해 중국 청도의 세탁소에서 1년여간 일한 것만 보아도 그 인격의 한 면모를 살필 수 있다.

1931년 의사는 중국 상해에 도착하여 일본군의 동향을 주시하며 자신의 몸과 마음을 일시에 던져 조국독립을 앞당길 수 있는 길을 찾기 시작한다. 그러던 중 마침내 임시정부 지도자인 백범 김구 선생을 만나 소원하던 조국독립의 제단에 몸을 던지게 된 것이다.

백범 선생과 의사는 의열투쟁의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던 중 “1932429일 일왕(日王)의 생일인 천장절(天長節)을 일본군의 상해사변 전승 축하식과 합동으로 상해 홍구공원(虹口公園)에서 거행할 예정이다라는 상해 일일신문의 보도에 접하게 된다. 얼마나 기다리던 기회였던가. 오로지 자신의 몸을 던져 독립의 소망을 이루기 위해 천리 먼길을 달려온 의사였다. 의사와 백범 선생은 드디어 그 기회를 맞은 것이다.


1932429일 홍구공원에서 의거를 결행하다


이를 위해 치밀한 준비가 진행되었다. 의거 3일전인 426일 의사는 이 의거가 개인적 차원의 행동이 아니라 한민족 전체의사의 대변이라는 점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백범 선생이 주도하던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에 가입한다. 의사는 나는 적성(赤誠)으로써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회복하기 위하여 한인애국단의 일원이 되어 중국을 침략하는 적의 장교를 도륙하기로 맹세하나이다라는 선서를 하고 최후의 준비를 서둘렀다.

27일과 28일에는 홍구공원(현 노신공원)을 답사하여 거사의 만전을 기하였다. 상해 병공창(兵工廠)의 주임이었던 김홍일(金弘壹) 장군의 주선으로 폭탄이 마련되었고 거사 장소는 눈이 시리도록 익혀두었다.

거사일인 429일 아침 백범 선생과 마지막 조반을 들고서도 시계를 바꾸어 갖는 여유를 잃지 않았다. 거사 후 자결하기 위해 자결용 폭탄까지 마련한 그 아침의 모습이다.

429일 홍구공원에는 수많은 인파가 운집하였고 삼엄한 경계가 겹겹이 처졌다. 단상 위에는 시라카와(白川) 대장과 해군 총사령관인 노무라(野村) 중장, 우에다(植田) 중장, 주중공사 시게미쓰(重光), 일본거류민단장 가와바타(河端), 상해총영사 무라이(村井) 등 침략의 원흉들이 도열해 있었다.

오전 1140분경 축하식 중 일본 국가가 거의 끝날 무렵이었다. 의사는 수통형 폭탄의 덮개를 벗겨 안전핀을 빼고 앞 사람을 헤치고 나아가 단상위로 폭탄을 투척하였다. 폭탄은 그대로 가와바타와 시게미쓰 사이에 폭발, 천지를 진동하는 굉음을 내고 파편이 사방으로 날았다. 식장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되었다. 이 의거로 시라카와 대장과 가와바타 거류민단장은 사망하고 노무라 중장은 실명, 우에다 중장은 다리가 부러졌으며, 시게미쓰 공사는 절름발이가 되고 무라이 총영사와 토모노(友野) 거류민단 서기장도 중상을 입었다.

윤봉길 의사의 이 쾌거는 곧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특히 중국의 장개석 총통은 중국의 백만 대군도 못한 일을 일개 조선청년이 해냈다며 감격해 하고, 종래 무관심하던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였다. 그리하여 중국육군중앙군관학교에 한인특별반을 설치하는 등 한국의 독립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또한 한동안 침체일로에 빠져있던 임시정부가 다시 독립운동의 구심체로 역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도 이 의거에 힘입은 바가 컸다.


19321219, 일본 가나자와육군형무소에서 25세의 나이로 순국하다


체포된 의사는 가혹한 고문 끝에 그해 525일 상해 파견 일본군법회의에서 사형을 받았는데, 이때에도 이 철권으로 일본을 즉각 타도하려고 상해에 왔다며 대한남아의 기개를 잃지 않았다. 이후 일본 오사카로 호송된 뒤 19321219일 가나자와(金澤) 육군형무소 공병 작업장에서 십자가 형틀에 매어 총살, 25세의 젊디젊은 나이로 순국하였다.

의사의 유해는 일제에 의해 버려졌고, 광복 후인 1946년에야 조국에 봉환, 효창공원에 안장되었다.

의사는 부모는 자식의 소유주가 아니요, 자식은 부모의 소유물이 아니다고 말할 만큼 선각적인 사고를 가진 분이었다. 하지만 거사를 며칠 앞두고 사랑하는 두 아들에게 보낸 다음과 같은 유언은 의사가 참으로 지금의 우리에게 띄우는 당부일런지도 모른다.

 

강보에 싸인 두 병정에게 - 두 아들 모순(模淳)과 담()에게

 

너희도 만일 피가 있고 뼈가 있다면

반드시 조선을 위해 용감한 투사가 되어라.

태극의 깃발을 높이 드날리고

나의 빈 무덤 앞에 찾아와 한잔 술을 부어 놓으라.

그리고 너희들은 아비 없음을 슬퍼하지 말아라

사랑하는 어머니가 있으니 어머니의 교양으로 성공자를

동서양 역사상 보건대 동양으로 문학가 맹자가 있고

서양으로 불란서 혁명가 나폴레옹이 있고

미국의 발명가 에디슨이 있다.

바라건대 너희 어머니는 그의 어머니가 되고

너희들은 그 사람이 되어라.

 

정부는 의사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